본문 바로가기

728x90

분류 전체보기

(135)
스프링 컨테이너와 스프링 빈(Bean) 스프링 컨테이너란, 스프링 빈(Bean)을 저장하고 관리하는 저장소입니다. 스프링 빈(Bean)은 스프링 컨테이너에 의해 관리되는 재사용 가능한 소프트웨어 컴포넌트입니다. 즉, 스프링 컨테이너가 관리하는 자바 객체를 뜻하며, 하나 이상의 빈(Bean)을 관리한다. 빈은 인스턴스화된 객체를 의미하며, 스프링 컨테이너에 등록된 객체를 스프링 빈이라고 합니다. 스프링 컨테이너를 생성할 때는 구성 정보를 지정해주어야 합니다. 이 구성 정보는 XML을 기반으로 만들 수 있고, 자바 에너테이션 기반의 자바 설정 클래스로도 만들 수 있습니다. (이 외에도 Groovy, json 등 다양한 형식의 파일도 가능합니다.) 이번 포스팅은 이 2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스프링 컨테이너와 빈을 생성하는 방법에 대해서 작성하였습니다..
스프링 부트: Spring Initializr 예제 프로젝트 생성 이번 포스팅은 Spring Initializr을 이용하여 쉽게 스프링 부트 예제 프로젝트를 생성하는 법에 대해서 작성하였습니다. 1. Spring Initializr로 프로젝트 구성하기 위 사이트로 들어가 프로젝트의 구성을 원하는 대로 설정하여 다운로드하면 쉽게 Spring Boot 프로젝트 생성이 가능합니다. 저는 아래와 같이 구성한 후, Generate 버튼을 눌러 프로젝트를 생성하였습니다. Project: Gradle Language: Java 17 Spring Boot: 3.2.0 (SNAPSHOT이나 M 버전 같은 것들은 아직 완전히 개발되지 않은 것들이라 보시면 됩니다.) Project Metadata Group: hello Artifact: core (Artifact을 수정하면 Name 속성..
ORM 이란? Object-Relational Mapping ORM이란, 자바의 객체와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하는 프로그래밍 기법입니다. 만약, SQL이라는 언어로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꺼내 사용해야 한다면 SQL 언어를 별도로 공부해서 사용할 줄 알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습니다. 이 번거로움을 해결하고자 ORM이 탄생을 했는데요. ORM을 통해 우리는 SQL 언어를 전혀 몰라도 Java 언어로만 데이터베이스에 접근해서 원하는 데이터를 받아올 수 있습니다. 즉, 객체와 데이터베이스를 연결해 JAVA 언어로만 데이터베이스를 다룰 수 있게 하는 도구라고 할 수 있습니다. ORM의 장점과 단점을 알아보면 아래와 같습니다. 장점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에 대한 종속성이 줄어듭니다.: 데이터베이스 시스템이 추상화되어 있기 때문에 ..
객체지향 4대 특성 객체지향의 4대 특성에는 아래가 있습니다. 캡슐화: 정보 은닉 상속: 재사용 추상화: 모델링 다형성: 사용 편의 각각의 특성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추상화 - 모델링 OOP의 추상화는 모델링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클래스 설계에서 추상화가 사용됩니다. 클래스 설계를 위해서는 애플리케이션 경계부터 정해야 합니다. 객체 지향에서 추상화의 결과는 클래스입니다. 추상화 = 모델링 = 자바의 class 키워드 상속 - 재사용 객체 지향의 상속은 상위 클래스의 특성을 재사용하는 것입니다. (부모-자식 관계가 X) 객체 지향의 상속은 상위 클래스의 특성을 확장하는 것입니다. 객체 지향의 상속은 is kind of 관계를 만족해야 합니다. (즉, 하위 클래스 is kind of 상위 클래스): 하위 클래스는 상위 클..
객체 지향 설계 5원칙 - SOLID SOLID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및 설계의 5가지 기본 원칙을 두문자어로 나타낸 것입니다. 응집도는 높이고, 결합도는 낮추라는 고전 원칙 (High cohesion, Loose coupling)을 객체 지향 관점에서 재정립한 것입니다. SOLID는 아래의 5가지에 해당합니다. SRP (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단일 책임 원칙 OCP (Open Closed Principle): 개방 폐쇄 원칙 LSP (Liskov Substitution Principle): 리스코프 치환 원칙 ISP (Interface Segregation Principle): 인터페이스 분리 원칙 DIP (Dependency Inversion Principle): 의존 역전 원칙 ※ 결합도와 응집..
자바의 직렬화 (Serialization) 직렬화란, 객체를 데이터 스트림으로 만드는 것입니다. 객체에 저장된 데이터를 스트림에 쓰기(write) 위해 연속적인(serial) 데이터로 변환하는 것입니다. 반대로, 스트림으로부터 데이터를 읽어서 객체를 만드는 것을 역직렬화(deserialization)라고 합니다. 객체를 저장한다는 것은, 객체의 모든 인스턴스변수의 값을 저장한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저장했던 객체를 다시 생성하려면, 객체를 생성한 후에 저장했던 값을 읽어서 생성한 객체의 인스턴스변수에 저장하면 됩니다. 인스턴스변수가 단순한 기본형일 때는 인스턴스변수의 값을 저장하는 일은 간단합니다. 하지만, 인스턴스변수의 타입이 참조형일 때는 그냥 저장할 수가 없습니다. 이러한 변수를 저장하기 위해서 자바에서는 ObjectInputStre..
자바에서의 입출력 - 2 (Reader/Writer) 저번 포스팅(자바의 입출력 -1)에서는 바이트 기반의 스트림들을 알아보았습니다. 바이트기반 스트림은 입출력의 단위가 1byte입니다. 하지만 한글과 같은 2 byte형 문자를 표현하기에는 바이트기반 스트림에서 한계가 있었습니다. 이 점을 보완하기 위한 문자기반의 스트림에 대해서 이번 포스팅에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문자데이터를 다루는데 사용된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바이트기반 스트림과 사용방법이 거의 같기 때문에 기본적인 메서드에 대해서만 설명하고 넘어가도록 하겠습니다. 만약 바이트기반 스트림과 보조 스트림에 대해서 생소하시면 자바의 입출력 - 1 포스팅부터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자유로운 피드백은 환영입니다!! 바이트기반 스트림 VS 문자기반 스트림 바이트기반 스트림과 문자기반 스트림은 이름만 조..
자바에서의 입출력 - 1(InputStream/OutputStream) 이번 포스팅은 자바에서의 I/O (Input과 Output)에 대해서 작성했습니다. 자유로운 피드백은 환영입니다!! 스트림 자바에서 입출력을 수행하려면, 두 대상을 연결하고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는 스트림(Stream)이라는 것이 필요합니다. 즉, 스트림이란 데이터를 운반하는 데 사용되는 연결통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스트림 종류 스트림은 단방향 통신만 가능하므로, 하나의 스트림으로 입력과 출력을 동시에 처리할 수 없습니다. 따라서, 입출력을 동시에 수행하려면 입력스트림(InputStream)과 출력스트림(OutputStream)이 모두 필요합니다. 바이트기반 스트림 아래와 같은 바이트 기반스트림은 바이트단위로 데이터를 전송하며, 입출력 대상에 따라 아래 종류의 입출력 스트림이 있습니다. 이들은 모두 I..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