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130) 썸네일형 리스트형 [클린 코드] 3장. 함수 1. 작게 만들어라! 블록과 들여쓰기 if문, else문, while 문 등에 들어가는 블록은 한 줄이어야 한다! 2. 한 가지만 해라! 함수 당 추상화 수준은 하나로 하자: 함수 내 모든 문장의 추상화 수준이 동일해야 한다. 예를 들어 아래 코드에서 함수 내 추상화 수준이 다르다. public String method(Page page){ String testPage = page.getContent("content"); // 추상화 수준 높다. ... if(testPage) { String pagePathName = PathParser.render("path"); } // 추상화 수준 낮다. ... return page.getHtml(); // 추상화 수준 높다. } 추상화 수준이 다르면 코드를 읽는 .. [Multi-Thread] execute() vs submit() execute()와 submit()은 모두 ExecutorService 인터페이스에서 제공되는 메서드로, 작업을 쓰레드 풀에 제출하여 실행하는 데 사용됩니다. 하지만 두 메서드 간에는 몇 가지 차이점이 있습니다. execute(Runnable command) 해당 메소드는 Executor 인터페이스 내부에 아래와 같이 정의되어 있습니다. void execute(Runnable command); execute 메서드의 특징은 아래와 같습니다. Runnable 타입의 작업만 처리 가능합니다. 반환 값이 없습니다. execute() 메서드는 작업이 완료되면 어떠한 결과값도 반환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Future 객체를 통해 작업의 상태를 추적하거나 결과를 얻을 수 없습니다. 작업 실패 시 예외 처리 만약 작업.. [Multi-Thread] ThreadPoolExecutor 사용법 및 주의사항 아래 포스팅에서 멀티 쓰레드 환경에서의 작업을 위한 쓰레드 풀을 생성하기 위한 다양한 인터페이스에 대해서 작성하였습니다. https://silver-programmer.tistory.com/entry/Executor-ExecutorService%EC%99%80-ThreadPoolExecutor [Multi-Thread] Executor, ExecutorService와 ThreadPoolExecutor 자바에서는 다중 쓰레드 환경에서 작업을 비동기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다양한 인터페이스와 클래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Executor 인터페이스가 있고, Executor를 확장한 인터페이스인 silver-programmer.tistory.com 여기에서 ThreadPoolExecutor에 대해서도 간.. [Multi-Thread] Executor, ExecutorService와 ThreadPoolExecutor 자바에서는 다중 쓰레드 환경에서 작업을 비동기적으로 실행하기 위한 다양한 인터페이스와 클래스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Executor 인터페이스가 있고, Executor를 확장한 인터페이스인 ExecutorService 인터페이스, 그리고 ExecutorService 인터페이스를 구현한 클래스 중 하나인 ThreadPoolExecutor 가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은 각각의 인터페이스 및 클래스에 대해서 작성해 보았습니다. Executor 인터페이스 Executor 인터페이스는 java.util.concurrent 패키지에서 제공하는 인터페이스로, 아래와 같이 단일 추상 메서드 'execute(Runnable command)'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 메서드는 Runnable 객체를 매개변수로 받아서.. [Multi-Thread] 쓰레드 결과 기다리기 (Future, submit(), get()) 최근에 회사에서 멀티 쓰레드로 병렬 처리를 하는 코드를 구현해야 했습니다. Java에서 제공하는 ExecutorService를 이용하여 Thread Pool (쓰레드 풀)을 생성하고, 각 쓰레드들에게 작업을 던진 후, 각 쓰레드의 작업 결과값을 받아서 후처리를 해주어야 하는 코드를 작성해야 했습니다. 그 과정에서 여러 가지 배운 점이 있어 정리하고자 포스팅을 작성하였습니다. 처음에는 아래와 같이 Runnable과 Executor 클래스의 execute()을 이용해 코드를 작성하였습니다. (참고로, ExecutorService는 Executor를 상속하기 때문에 타입이 ExecutorService여도 execute() 메서드 사용이 가능합니다.) public class ThreadTest { void ru.. MVC 패턴 MVC 패턴이란? Model View Controller의 약자로, 디자인 패턴 중 하나입니다. MVC 패턴이 있기 전에는 하나의 서블릿이나 JSP에서 어떤 애플리케이션의 모든 기능들을 구현하고 처리하였습니다. 이렇게 분리할 수 있는 기능들도 다 같은 곳에서 처리하다 보니, 유지보수 하기에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이렇게 서블릿이나 JSP로 처리하던 것을 모델(Model), 뷰(View), 컨트롤러(Controller)라는 영역으로 서로 역할을 나눈 것이 MVC 패턴입니다. 웹 애플리케이션은 보통 이 MVC 패턴을 주로 사용합니다. Controller : HTTP 요청을 받아서 파라미터를 검증하고, 비즈니스 로직을 실행 혹은 호출합ㄴ다. 그리고 뷰에 전달할 결과 데이터를 조회해서 모델에 담습니다. Model.. 서블릿(Servlet) 이란? - 2 (HttpServletRequest, HttpServletResponse) HttpServletRequest와 HttpServletResponse 모두 서블릿(Servlet)이 Http 요청 및 응답 메시지를 간편하게 파싱하고 구성할 수 있도록 사용하는 객체입니다. 서블릿 관련한 기본 내용은 아래 포스팅에 작성하였으니 참고해 주세요! 서블릿(Servlet) 이란? 서블릿은 웹 서버를 구현할 때 필요한 TCP/IP 연결, HTTP 메시지 파싱, HTML 생성 등의 역할을 대신해주어 개발자가 비즈니스 로직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서블릿은 아래와 같이 생겼습니다 silver-programmer.tistory.com HttpServletRequest HttpServletRequest를 사용하면 아래와 같이 개발자가 HTTP 요청 메시지를 편리하게 조회할 수 있습니다. POST.. 서블릿(Servlet) 이란? 서블릿은 웹 서버를 구현할 때 필요한 TCP/IP 연결, HTTP 메시지 파싱, HTML 생성 등의 역할을 대신해주어 개발자가 비즈니스 로직에만 집중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서블릿은 아래와 같이 생겼습니다. urlPatterns(/hello)의 URL이 호출되면 서블릿 코드가 실행됩니다. HTTP 요청 정보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HttpServetRequest 서블릿이 개발자를 위해 HTTP 요청 메시지를 직접 파싱하여 HttpServletRequest 객체에 담아서 제공 HTTP 응답 정보를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HttpServetResponse 개발자가 설정한 스펙에 맞게 서블릿이 HTTP 응답 메시지 직접 구성하여 HttpServletResponse 객체에 담아서 제공 서블릿은 HTTP 요.. 이전 1 ··· 3 4 5 6 7 8 9 ··· 17 다음 목록 더보기